무늬인도고무나무
무늬인도고무나무 | |
학명 | Ficus elastica 'Variegata' |
이명 | 수채화고무나무 |
분류 | 쐐기풀목 뽕나무과 |
원산지 | 인도, 말레이시아 |
수채화고무나무로 널리 알려진 무늬인도고무나무는 도화지 같은 하얀 바탕에 녹색으로 번지는 색감이 뚜렷한 관엽식물입니다.
잎의 색깔과 무늬가 번지는 모습이 마치 수채화 같다하여 수채화고무나무라고 불리지만, 국가표준식물목록시스템에서는 무늬인도고무나무라는 이름을 국명으로 추천하고 있습니다.
무늬인도고무나무는 저마다의 잎이 각기 다른 무늬를 가지고 있으며 환경조건에 따라 무늬가 변합니다.
그 변화를 관찰하는 것도 무늬인도고무나무를 즐기는 한 방법입니다.
무늬인도고무나무의 하얀 바탕을 보고 싶다면 햇빛을 잘 보여주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식물은 빛이 부족하면 적은 빛을 더 많이 이용할 수 있도록 엽록소를 형성합니다.
엽록소가 많을수록 잎은 초록색이 짙어지게 됩니다.
반대로 햇빛이 충분하면 엽록소가 적어도 광합성을 충분히 할 수 있으므로 잎은 연녹색이 되며, 무늬종은 무늬 색상이 더욱 선명해집니다.
고무나무는 잎이 두꺼운 편으로, 과습을 주의해야 합니다.
물은 날짜를 정해서 주기적으로 주기보다는 흙에 손가락을 찔러 넣었을 때 물기가 충분히 말랐다면 흠뻑 주는 것이 좋습니다.
따뜻한 지역이 원산지이므로 대체로 실내의 온화한 온도가 알맞으며, 추위에는 약해 해를 입기 쉬우니 온도가 최저온도 12도 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겨울에는 베란다보다도 따뜻한 실내가 안전합니다.
또한 통풍이 안 되면 깍지벌레 등 해충이 생기기 쉬우므로 바람이 잘 통하게 해주어야 합니다.
분갈이 후에는 아래 잎이 후두둑 떨어질 수 있는데, 이는 분갈이로 인한 몸살을 겪는 것이니 시간이 지나면 괜찮아집니다.
몸살을 줄이기 위해서는 뿌리에 원래 붙어있던 흙을 모두 털어내지 말고 일부를 함께 옮겨주어야 합니다.
또한 분갈이 후 원래 있던 장소와 다른 환경조건의 장소에 두는 것은 몸살을 심하게 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고무나무는 공통적으로 잎을 잘랐을 때 절단면에서 고무액이 나옵니다.
원하는 수형을 만들기 위해 가지치기를 할 때는 전정가위를 깨끗하게 소독하여 사용하고, 고무수액이 다른 잎이나 손에 묻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물에 적신 솜이나 천을 이용하여 절단면을 잠시 눌러주면 수액이 굳어 흐르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식물, 나무, 숲, 그리고 사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을음병(Sooty mold) - 가로수 주요 병충해 발생특성 및 방제방법 [주요 수목병 1] (0) | 2023.03.01 |
---|---|
해설프로그램 만들기 (2) - ● 숲 해설 기초 (14) (0) | 2023.03.01 |
(유기농업산업기사 기출) 광합성, 외견상광합성, 진정광합성, 광보상점, 광포화점, 식물 호흡량, 이산화탄소, 순광합성량, 총광합성량 (1) | 2023.03.01 |
가로수 조성•관리 우수 사례 (2) (0) | 2023.03.01 |
가로수 조성•관리 우수 사례 (1) (0) | 2023.02.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