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728x90

가로수식재4

가로수 조성을 위한, 가로수 식재 (3) ■ 가로수 확보, 운반 및 식재 1). 가로수 확보, 운반 및 식재 (1). 식재목 굴취 ① 준비작업 ● 굴취작업 2~3일 전에 충분한 관수와 수관의 30% 내외 가지를 전정하고 하단가지나 근주부분의 맹아지를 제거한 후 수관을 새끼로 묶어 운반을 편리하게 한다. ● 수고 4.5m 이상인 수목의 경우는 굴취 전에 밧줄을 사용하여 사방으로 고정시킨 후 굴취한다. ● 수관폭이 운반차량의 적재함 폭을 벗어나면 운반 시 손상이 우려되므로 새끼나 가는 로프로 조여 매는 등 수목이 적재함을 벗어나지 않도록 조치를 취한다. ② 분의 크기 ● 분의 크기는 수종, 토성 등에 따라 다르지만 최대한 많은 뿌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분의 직경은 근원직경의 5~7배로 한다. ● 분의 깊이는 중앙부 3배, 가장자리는.. 2023. 1. 13.
가로수 조성을 위한, 가로수 식재 (1) ■ 가로수 식재 순서 및 가로수 식재 위치 1). 가로수 식재 순서 ● 가로수 식재는 식재위치 선정, 수목 확보 및 운반, 가로수 식재, 후속조치(약재, 전정 등), 지주대 설치, 기타 보호시설 설치 순으로 실시한다. 식재위치 선정(식혈작업) ➜➜ 수목 확보 및 운반 ➜➜ 가로수 식재 ➜➜ 후속조치(약재, 전정 등) ➜➜ 지주대 설치 ➜➜ 기타보호시설 설치 2). 가로수 식재위치 ● 보도에 교목을 식재할 경우 제설제 등 화학약품으로부터의 약해 방지 및 이동차량 등으로부터의 물리적 피해 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보도•차도 경계선으로부터 가로수 수간의 중심까지 최소 1m 이상의 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보도가 없는 도로에 교목을 식재하는 경우에는 갓길 끝으로부터 수평거리 2m 이상 떨어지도록 식.. 2023. 1. 13.
가로수 조성을 위한, 가로수 식재기반 조성 (1) ■ 가로수 생육기반 조성 (1). 식재구덩이 설치 ● 가로수의 건강한 생육을 위해 터파기 및 토양개량 등 식재기반 조성 후에 보도경계석 설치 및 보도부 포장을 시행한다. ● 식재구덩이는 단변 2m 이상의 충분한 크기로 마련한다. ● 불량토 치환, 객토, 배수불량지에는 배수층을 설치하고, 통기, 관수를 위한 기능성 파이프를 삽입한다. ● 보도 폭원이 좁은 경우 유효 보도폭 확보와 건전한 가로수 식재기반 조성을 위한 신공법 도입 등을 검토하여야 한다. (2). 토양 개량 및 표토의 보존 ● 가로수 식재기반 토양이 가로수의 정상적인 생육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 불량토양 제거 및 환토를 실시한다. ● 가로수 식재기반 토양이 답압, 오염, 척박화 등으로 인하여 악화되었을 경우 객토, 시비 등을 통해 이를 개선한다... 2023. 1. 11.
가로수 조성 관리의 기본계획 가로수 조성 관리의 기본계획 1. 가로수 기본계획 1). 가로수 기본계획 수립 근거 ●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9조 도시림 등 조성•관리계획에 의거하여 지방자치단체장은 매 10년마다 도시림 등 조성•관리계획에 포함된 가로수 조성•관리 기본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 도로의 상황 또는 경제사정 등 현저한 변경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그 계획을 변경할 수 있다. ●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도시림 등 조성•관리계획을 수립한 때에는 이를 공표하여야 하며, 도시림 등의 조성 및 관리에 필요한 사항을 조례로 정할 수 있다. 2). 가로수 기본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 ● 계획의 목적 및 기본방향 ● 가로수 현황 분석 ● 지역별•노선별 가로수 기본 식재수종 ● 양질의 가로수 증진과 정비 방안 ●.. 2023. 1. 2.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