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밀라리아뿌리썩음병(Amillaria root rot) - 가로수 주요 병충해 발생특성 및 방제방법 [주요 수목병 2]
■ 아밀라리아뿌리썩음병(Amillaria root rot) - 가로수 주요 병충해 발생특성 및 방제방법 [주요 수목병 2] ■ 아밀라리아뿌리썩음병(Amillaria root rot) ● 기주 = ▪잣나무, 소나무, 낙엽송, 가문비나무, 스트로브잣나무, 뽕나무, 느티나무, 비술나무, 벚나무, 오동나무, 오리나무류, 참나무류 등 ● 발생특성 = ▪병원체는 대부분 저병원성으로 잎이 떨어진 후 또는 수분 스트레스 등으로 나무가 약해져 있는 상태에서 주로 발생하여 나무를 죽게 함 ▪일부 고병원성 병원체는 건전한 나무를 죽이기도 하며, 때때로 뿌리에 발생하는 곰팡이와 해충 등과 함께 복합적인 피해를 일으킴 ▪경기도와 강원도(영월, 평창, 정선) 등 잣나무 조림지에서 드물지 않게 발생함 ● 피해 및 증상 = ▪병에 ..
2023. 3. 4.
그을음병(Sooty mold) - 가로수 주요 병충해 발생특성 및 방제방법 [주요 수목병 1]
■ 그을음병(Sooty mold) - 가로수 주요 병충해 발생특성 및 방제방법 [주요 수목병 1] ■ 그을음병(Sooty mold) ● 기주 = ▪소나무류, 낙엽송, 주목, 버드나무, 밤나무, 동백나무, 후박나무, 굴거리나무, 박쥐나무, 사스레피나무, 식나무, 대나무 등 ● 발생특성 = ▪깍지벌레, 진딧물 등 해충이 많이 발생하였던 수목에서 많이 발생함 ▪주로 통풍과 햇빛이 잘 들지 않는 곳에서 많이 발생함 ▪주로 잎에 발생하지만 가지, 줄기, 열매 등에도 발생함 ▪주로 7월 중, 하순부터 발생해서 8~9월에 가장 많이 발생함 ● 피해 및 증상 = ▪나무가 말라 죽는 일은 없으나 동화작용이 방해되어 수세가 쇠약해짐 ▪어린 나무와 큰 나무의 구별 없이 잎과 가지, 줄기에 까만 그을음이 덮여 있으므로 수목이..
2023. 3. 1.
가로수 조성을 위한, 가로수종의 선정 (4)
■ 가로수 품질 기준 (1). 국외 조경수의 품질기준 비교 ● 국외 조경수의 규격 및 품질기준 비교 결과 수형, 수고, 수관폭, 지하고, 주간, 가지, 지엽, 뿌리발달, 병충해 등 모든 부분에서 공통된 기준을 확인할 수 있다. ● 미국의 경우, 주간의 곧음 정도, 가지의 배열상태에 대한 자세한 품질기준을 가지고 있다. ● 가로수의 경우, 입찰내역에 수종에 적합한 지하고를 지정하도록 하고 있으며, 가로수를 식재할 때 뿌리공간이 부족할 것을 우려하여 재배 수목의 뿌리발달 상태(이식 횟수, 단근유무)를 시방에 명기하도록 한다. [[[ 국외 조경수의 품질기준 비교 분석 ]]] (2). 가로수 성상에 따른 재배지 품질기준 ● 가로수 고유의 수형유지 및 기능 향상을 위하여 가로수용 조경수를 교목과 아교목으로 구분하..
2023. 1. 5.
[특집5.]숲 속의 토양 - 임목의 영양진단
이번에는 숲과 토양에 대해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토양은 식물을 지지하고 또 수분과 양분의 공급원이며, 독성물질을 완화시키는 역할과 식생을 분포시키는 그런 중대한 인자입니다. 토양은 어떻게 만들어질까요? 토양은 암석의 풍화물, 동식물의 분해물이 혼합되어 있는 곳으로서 모암, 지형, 생물, 기후, 시간, 인간활동 이렇게 6가지 인자에 의해서 어떠한 토양이 만들어지는지 결정되어집니다. 어떠한 인자가 얼마만큼 또 어느 기간 동안, 작용하느냐에 따라서 토양의 상태가 달라지고 그 안의 특성도 변하게 됩니다. 지각을 구성하는 암석은 입자의 크기나 결정, 색, 화학적 조성 등이 다른 1차 광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광물은 여러 가지 풍화작용에 의해서 가늘게 부서집니다. 동결과 융해, 건조와 습윤, 한랭과 온난..
2022. 2.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