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피쉬본 선인장(Fishbone Cactus)
피쉬본 선인장 | |
학명 | Disocactus anguliger (syn. Epiphyllum anguliger) |
영명 | Fishbone Cactus, Zigzag Cactus |
이명 | 어골 선인장, 지그재그 선인장 |
원산지 | 멕시코 |
분류 | 선인장과 |
생육적온 | 15~25도 |
피쉬본 선인장은 지그재그로 자라는 잎과 곧은 줄기의 모양이 생선 뼈와 비슷하다 해서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미역 줄기 같기도 한 이 식물은 일반적인 선인장에 비해 몸통의 두께가 얇고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비슷한 형태의 식물에 비해 피쉬본 선인장은 물결치는 잎의 가장자리가 둥글둥글합니다.
피쉬본 선인장은 직사광선보다는 은은한 간접광이 드는 곳에 두는 것이 적절합니다.
멕시코 열대우림이 원산지이므로 온도는 15~25도의 온화한 환경이 좋으며, 겨울철에는 꼭 따뜻한 실내에 두어야 합니다.
또한 피쉬본 선인장은 여느 선인장처럼 과습을 주의해야 합니다.
물이 잘 빠지도록 배수층을 만들고, 잎이 쭈글쭈글해지거나 힘이 없을 때 물을 줘야합니다.
그러나 피쉬본 선인장은 다른 선인장과 비교하면 물을 요구하는 양이 많으므로 식물의 상태를 관찰하며 물을 공급해야 합니다.
선인장은 대체로 생장이 느리지만 피쉬본은 빠른 편입니다.
그러나 본 식물체의 성장보다는 식물체의 밑부분에서 새로운 잎이 자주 뻗어 나오는 성장이 큽니다.
새로 난 신초는 그대로 두어 풍성하게 길러도 되고, 충분히 자란 후 잘라내어 번식시킬 수도 있습니다.
잎을 소독한 가위로 잘라내고, 절단 부위가 마르도록 며칠 둔 후 삽목합니다.
잘라낸 잎을 심을 때는 식물체가 뿌리를 충분히 내려 흔들리지 않도록 깊게 심는 것이 좋습니다.
728x90
728x90
'식물, 나무, 숲, 그리고 사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설프로그램 만들기 (3) - ● 숲 해설 기초 (15) (1) | 2023.03.04 |
---|---|
아밀라리아뿌리썩음병(Amillaria root rot) - 가로수 주요 병충해 발생특성 및 방제방법 [주요 수목병 2] (0) | 2023.03.04 |
그을음병(Sooty mold) - 가로수 주요 병충해 발생특성 및 방제방법 [주요 수목병 1] (0) | 2023.03.01 |
해설프로그램 만들기 (2) - ● 숲 해설 기초 (14) (0) | 2023.03.01 |
무늬인도고무나무 - Home Gardening (7) (0) | 2023.03.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