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설의 여러 가지 원칙들
▶ 틸든(Freeman Tilden)의 6원칙
① 연관시켜라 = 비교하고 대조하고 개성적으로 만들어라.
② 드러내라 = 참가자들이 뭔가 새로운 것을 발견하게 만들어라.
③ 자극시켜라 = 심오한 생각과 행동을 고취시켜라.
④ 종합예술 = 다양한 학습 양식을 써라.
⑤ 총체적으로 = 해설자원의 맥락(큰 이야기)을 제공하라.
⑥ 적절하게 = 참가자를 고려하라.
▶ 벡과 케이블(Larry Beck, Ted Cable)의 15원칙
① 흥미를 일으키려면 해설가는 참가자들의 삶과 해설 주제를 관련시켜야 한다.
② 해설의 목적은 정보 제공을 넘어서 깊은 의미와 진실을 드러내는 것이다.
③ 해설은 정보, 흥미, 깨달음을 하나의 이야기로 만들어 진행해야 한다.
④ 해설 이야기의 목적은 참가자들의 감성 한계를 넓히도록 영감과 자극을 주는 것이다.
⑤ 해설은 명확한 주제나 논지를 담고 모든 사람을 다루어야 한다.
⑥ 초•중•고등학생을 위한 해설은 일반인 대상의 해설과 근본적으로 다른 접근을 따라야 한다.
⑦ 모든 장소는 역사를 가지고 있다. 해설가는 과거를 생생하게, 현재를 더 재미있게, 미래를 더욱 의미 있게 제공할 수 있다.
⑧ 첨단기술은 흥미롭고 새로운 방법으로 세상을 드러낼 수 있다. 그러나 첨단기술은 예견과 관심을 끌어내도록 해설프로그램에 포함해야 한다.
⑨ 해설가는 스스로 해설의 양과 질(선택과 정확성)을 고려해야 한다. 집중적이고 잘 정리된 해설은 지루한 담론보다는 더 강력할 것이다.
⑩ 해설을 적용하기 전에, 해설가는 기본적인 커뮤니케이션 기술에 익숙해져야 한다. 우수한 해설은 끊임없이 훈련된 해설가의 지식과 기술에 달려 있다.
⑪ 해설 글쓰기는 지혜, 겸허, 관심과 함께 방문객들이 알고 싶어 하는 것을 다루어야 한다.
⑫ 포괄적인 해설프로그램은 재정적•정치적•행정적 지지와 자원봉사를 이끌어 낼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지지는 해설프로그램을 번창시키는데 필요하다.
⑬ 해설은 참가자들 주변에 있는 미적 감성에 대한 갈망, 정신적인 행복감을 제공하고 자원 보전을 고무시키는 등을 서서히 주입시켜야 한다.
⑭ 해설가는 의도적이고 사려 깊은 프로그램과 시설 계획을 통해 최상의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⑮ 해설자원에 대한 영감을 받게 될 참가자에 대한 열정은, 강력하고 영향력 있는 해설을 위한 기본적인 구성요소이다.
▶ NAI의 POETRY 원칙
① 목적의식(Purposeful) = 임무에 맞게 조절하며 중요한 목적들을 알림
② 체계(Organized) = 주제를 전달하기 위해 서론, 본론, 결론을 활용
③ 재미(Enjoyable) = 친절한 태도로 다양한 학습 양식을 적용
④ 주제(Thematic) = 메시지 전달을 통해 생각과 행동 그 이상을 자극
⑤ 연계성(Relevant) = 감성과 지성의 연결 만들기
⑥ 해설가(You) = 특정 참가자들을 위한 적절한 경험을 도안해 낼 수 있는 유연함 갖기
▶ 샘 햄(Sam Ham)의 TORE 원칙
== 성공적인 해설은,
○ 주제가 있고 (T : theme)
○ 알기 쉽게 정리되어야 하며 (O : organized)
○ 참가자들과 관련이 있고 (R : relevant)
○ 진행이 재미있어야 한다 (E : enjoyable)
▶ 미국국립공원청의 해설 방정식
○ 해설가가 참가자들에 대한 정보에 해설 자원에 대한 지식을 더하여 적절한 기법으로 적용하면 해설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 해설 기회 = (참가자 정보 + 해설 자원 지식) × (적절한 기법)
▶ 로니(Bob Roney)의 선동해설가와 광대해설가
○ 앞에서 나온 ‘해설은 무엇이며 해설가는 어떠해야 한다’는 수많은 말로 골치가 많이 아프겠지만, 지금부터는 우리가 해설을 진행하면서 알게 모르게 실수해온 것들로 ‘이것은 해설이 아니다’를 설명하고자 한다. 즉, ‘무엇을 해야지만 좋은 해설’이 정석이겠지만, ‘이것만 안 하면 좋은 해설’이라는 것도 훌륭한 접근이다.
○ 선동해설가 ➜ 참가자나 목적에 상관없이 그저 떠들기만 하는 해설가를 말한다. 일종의 웅변대회식의 해설이 되는 것이다.
● 다양한 관점들을 무시한다. ● 기정사실을 왜곡한다. ● 사실들을 지나치게 단순화한다. ● 참가자들을 무시한 관점으로 구성한다. ● 의욕을 꺾는 대화로 한 방향으로만 전달한다. ● 참가자들이 개인적인 관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따르지 않는다. |
○ 광대해설가 ➜ 정보 전달이나 감성 자극 없이 오로지 흥미만을 추구하는 해설가이다.
● 다양한 견해들을 고정관념화한다. ● 농담거리가 우선이고 사실은 뒷전이다. ● 사실을 지나치게 단순화한다. ● 참가자가 해설 자원에 진심으로 관심이 있다는 것을 믿지 않는다. ● 참가자가 무슨 생각을 하는지 관심이 없다. |
▶ 반복적으로 강조할 수 있는 말은 바로, 해설은 ‘전달’이라는 것이다. 여기서 전달이란 카세트테이프를 틀어놓은 듯한 일방적 전달이 아니라 ‘대화형 전달’을 의미한다.
'식물, 나무, 숲, 그리고 사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설의 대상 - ● 숲 해설 기초 (5) (0) | 2023.01.22 |
---|---|
실내에 식물이 반드시 필요한 이유 15가지 - ○ 사람을 살리는 실내식물 (1) (0) | 2023.01.22 |
해설 기본원리의 적용 - ● 숲 해설 기초 (3) (0) | 2023.01.21 |
가로수 관리를 위한, 가지치기 (6) (0) | 2023.01.21 |
가로수 관리를 위한, 가지치기 (5) (0) | 2023.01.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