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728x90

해설가3

해설프로그램 수행하기 - ● 숲 해설 기초 (16) ● 해설프로그램 수행하기 (1). 유형정보와 무형정보의 활용 == “좋은 해설은 유형과 무형을 연결하는 것이다.” 미국 공원청 해설교육가인 데이비드 라슨(David Larson)은 그의 강의에서 훌륭한 해설은 유형과 무형을 연결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라슨은 이 개념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해설 장소와 관련된 유물, 사람, 물건 등의 유형적인 요소와 이와 관련된 아이디어, 개념, 숨겨진 의미, 이야기 등의 무형적 요소, 그리고 전체적인 배경을 앞뒤로 연결하여 해설이 이루어진다면 그 해설은 매우 흥미로울 것입니다. 여기에서 유형적 요소와 무형적 요소의 순서는 정해져 있지 않지만 해설 초반부에 유형적 요소에 시간을 할애하여 실물을 보여준다거나 재현방식을 사용하고 나서 무형적 요소를 제공하.. 2023. 4. 9.
참가자에게 맞는 해설을 해야 훌륭한 해설가 (2) - ● 숲 해설 기초 (10) ●● 노년층 == 우리나라의 실정에 있어서 노년층은 여전히 여행 나오기가 그렇게 쉽지 않은 그룹에 속합니다. 특히, 노년층의 단체 여행은 일탈의 기회이며 그 하루를 온전히 즐기기 위해 노력합니다. 그 예로 이동하는 버스 안에서부터 춤을 추고 음주도 함께하며 여행의 처음부터 끝까지 흥을 돋웁니다.(가족 단위나 노년층의 부부 여행을 제외) 이 경우 여행의 목적지는 크게 중요하지 않고 사교와 관련된 활동(예시. 여행지에서 함께 식사하기, 야영지에서 함께 이야기하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숲 해설 시 함께할 수 있는 삼림욕체조 등에 중점을 두는 것이 좋습니다. 이번에는 젊은 여성해설가가 단체로 지팡이를 짚은 할머니들께 해설을 제공한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해설가는 의욕이 넘쳐 이 숲에 대해 많은 .. 2023. 2. 6.
참가자 이해하기 - ● 숲 해설 기초 (8) ●● 참가자 이해하기 (1). 참가자 유형화 == 해설에 앞서 참가자를 유형화 혹은 범주화할 수 있어야 합니다. 방문객들을 그룹화하는 지표로는 연령, 성별, 거주지, 외국인 여부, 직업, 장애 유무, 그룹의 크기 및 성격 등이 있으며 그 내용은 아래 표를 참고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참가자들은 각 그룹의 지표가 중층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합니다. > 범주화 기준 구분 속성에 따른 원칙 해설 시 고려할 언어 연령 미취학 어린이 비논리적, 자아중심적 감각 활용, 놀이, 공상이나 상상력에 초점 초등학교 어린이 단순한 논리적 단계, 대상을 범주화하고 차이점을 이해할 수 있음 게임 등을 통한 개념화 가능, 탐험, 체험, 질문 전략, 감각 활용, 비유법 사용 가능 사춘기 청소년 비자발적, 무관심, 부정적.. 2023. 1. 29.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