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 시비한 다음 토양 중에서 식물뿌리의 흡수작용이나 미생물의 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생리적 산성비료는?
① 석회질소 ② 황산암모니아 ③ 용성인비 ④ 질산암모니아
●정답 ➜➜ ② 황산암모니아
■관련해설■
■생리적 산성비료 ==> 황산암모늄(유안), 염화암모늄(염안), 황산칼륨, 염화칼륨 등.
■인산질 비료 ==> 과인산석회, 인산암모늄, 용과린, 쌀겨, 깻묵 등. ==> 식물의 열매(씨앗), 세포 및 생육에 관여한다.
■암모늄태 질소비료에 알칼리성 비료를 혼합하면 암모니아가 되어 휘발한다.
■수용성 인산에 석회질 비료를 혼합하면 불용성이 된다.
■부숙이 덜 된 유기질 비료의 시비는 땅속에서 부숙되는 과정에서 열을 발생시키고, 질소질이 손상되어 작물에게 해를 끼친다.
■비료의 분류 (1)
○ 원료에 따라 : 동물질비료, 식물질비료, 광물질비료, 잡질비료
○ 형태에 따라 : 고체비료, 액체비료, 기체비료
○ 함유성분에 따라 : 질소질 비료, 인산질 비료, 칼륨질 비료, 규산질 비료, 석회질 비료 등
○ 기타 분류에 따라...
1). 시비시기 : 밑거름(작물을 심기 전), 덧거름(작물이 있을 때), 이삭거름 등
2). 시비방법 : 엽면시비용, 토양 시비용 등
3). 배합여부 : 단일비료, 배합비료 등
4). 비효의 지속기간 : 속효성, 완효성, 지효성 비료
5). 생리적 반응에 따라...
① 생리적 산성비료 : 황산암모늄(유안), 염화암모늄(염안), 황산칼륨, 염화칼륨 등
② 생리적 중성비료 : 요소, 과인산석회, 질산암모늄(초안) 등
③ 생리적 알칼리성 비료 : 용성인비, 석회질소, 칠레초석 등
■비료의 분류 (2)
○ 시비법에 의한 분류
▶ 시비시기에 따른 분류
밑거름(기비) : 파종, 이식(이앙)전, 발아전에 사용하는 비료
웃거름(추비) : 작물의 생육도중에 사용하는 비료
▶ 시비계절에 의한 분류 ==> 춘비(봄거름), 하비(여름거름), 추비(가을거름), 동비(겨울거름)
○ 제법, 성상 등에 의한 분류
▶ 형태적 분류
입상비료 : 직경 1mm 이상으로 조립된 비료(요소, 복비 등)
분상비료 : 분말로 된 비료(용성인비, 석회질, 규산질 등)
사상비료 : 모래와 비숫한 비료(용성인비 사상, 규산질 사상)
고형비료 : 2종 이상의 비료에 이탄을 가한 직경 3mm 이상의 것(산림용 복비 등)
액상비료 : 수용액, 현탁액의 비료(제4종 복합비료)
○ 원료에 의한 분류
▶ 유기질비료(동식물비료), 동물질비료, 식물질비료
▶ 무기질비료(N.P.K 비료), 광물질비료
○ 주성분에 의한 분류
▶ 단 비 : 비료 3요소 중 1성분만 포함한 비료(요소, 유안, 용성인비, 황산가리, 염화가리)
▶ 복합비료 : 비료 3요소 중 2성분 이상이 포함된 비료(21-17-17,22-12-12,11-6-6, 21-12-11, 18-0-18 등)
▶ BB비료 : 비료성분을 단순 배합한 비료(고BB, 고특BB, 저BB, 저특BB)
▶ 질소질비료 : 요소, 유안, 석회질소 등
▶ 인산질비료 : 용성인비, 과석, 용과린 등
▶ 가리질비료 : 염화가리, 황산가리, 황산가리고토 등
▶ 미량요소비료 : 망간, 붕소, 철, 아연 등 미량성분을 포함한 것
○ 화학적, 생리적 반응에 의한 분류
▶ 생리적 산성비료 : 유안, 염안, 황산가리, 염화가리
▶ 생리적 중성비료 : 요소, 초안, 과석, 질산암모늄
▶ 생리적 알카리성(염기성)비료 : 용성인비, 석회질소, 질산석회, 규산질, 석회질비료
■주성분에 의한 비료의 분류 <보충설명>
● 질소질 비료 = 비료의 3요소 중 질소질(N)을 주성분으로 하는 비료로서 뿌리 및 잎과 줄기의 생육을 촉진함. 우리나라에서 주로 사용하는 질소질 비료는 요소, 황산암모늄임
1) 요소 : 질소질 45% 함유
- 화학적으로 중성비료이며 효과가 빠르고 논과 밭에 사용
- 엽면시비 효과가 크므로 물에 녹여 엽면살포에 이용
- 비료이외에도 요소수지, 접착제, 염료 및 반추동물 사료용으로도 이용되고 있음
2) 황산암모늄 : 질소질 20% 함유
- 화학적으로 중성비료로서 속효성이며 논이나 밭에 사용
- 알카리성 비료와 혼합하여 사용하면 질소 성분의 손실을 가져옴
- 비료 이외에 폐수처리제로도 사용
● 인산질 비료 = 비료의 3요소 중 인산(P2O5)을 주성분으로 하는 비료로서 세포 원형질을 구성하는 주체로서 줄기와 뿌리를 튼튼히 함. 우리나라에서 주로 사용하는 인산질 비료는 용성인비, 과석, 용과린임
1) 용성인비 : 인산질 17% 함유
- 구용성 인산 20%를 함유한 흑회색이며, 물에는 녹지 않으며 뿌리에 닿으면 흡수되며, 주로 밑거름용으로 사용
2) 과석 : 인산질 17% 함유
- 외견상으로 회백색이며 인산 16.5% 이상 함유, 밑거름용으로 사용
● 가리질 비료 = 비료의 3요소 중 가리(K2O)를 주성분으로 하는 비료로서 열매를 튼튼히 하고 근채류에서는 뿌리를 튼튼히 함. 우리나라에서 주로 사용하는 가리질 비료는 황산가리, 염화가리, 황산가리 고토임.
1) 염화가리 : 가리질 60% 함유
- 전량 외국에서 수입하여 사용하며, 수용성으로 적색 또는 백색결정으로 밑거름이나 웃거름으로 사용
2) 황산가리 : 가리질 50% 함유
- 수용성으로 감자, 과수, 과채, 엽채, 화훼, 담배 등의 품질을 좋게 하고 결실을 좋게 함
● BB비료 = 지역별, 개인별 토양 분석에 의한 시비 처방서를 근거로 N.P.K의 입상 원료 비료 2종 이상을 물리적(화학적 반응 없음)으로 단순배합(섞어)하여 만든 입상 배합비료(Bulk Blending)을 말함.
- 원료는 DAP + 입상가리 + 요소, 유안(인산원료)
- BB비료의 종류 : 고 BB비료, 고특 BB비료, 저 BB비료, 저특 BB비료
● 씨디유(C.D.U) 복합비료 = 씨디유 복합비료는 씨디유 질소비료에 인산비료와 가리비료 또는 제1종 복합비료 등을 배합하여 만든 완효성 비료
● 완효성 복합비료 = 완효성 복합비료는 비료성분이 서서히 녹아 나와 작물이 양분을 필요로 할 때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든 비료이며, 밑거름으로 한번만 사용하여도 작물을 수확할때까지 비료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우리나라 토양은 조립질이고 양분을 간직하는 힘이 적어 비료성분이 유실되기 쉬우므로 지하수의 오염 및 호수와 늪의 부영양화의 원인이 되기 쉬운데 완효성 복합비료가 사용되면 농촌일손의 해소와 비료의 유실도 현재의 65%에서 45%로 줄일 수 있어, 수요가 크게 늘어나면 비료 주는 노력과 환경오염도 줄일 수 있게 된다.
■비료의 정의
● 비료는 토양의 생산력을 유지 또는 증진시키고, 작물을 잘 생장시키기 위하여 토양 또는 색물에 투입하는 영양물질과 직접적으로는 작물의 영양물질이 되지는 않더라도 토양의 물리적 화학성 등을 개선하고 유용한 미생물들을 증진시키며, 토양 중에 식물에 이용될 수 없는 형태로 있는 양분을 이용이 가능한 형태로 바꾸어 준다든지, 유독성 물질의 독성을 저감시키는 등 간접적으로 작물의 생육에 도움을 주는 물질이라고 볼 수 있다.
● "비료"라 함은 식물에 영양을 주거나 식물의 재배를 돕기 위하여 흙에서 화학적 변화를 가져 오게 하는 물질과 식물에 영양을 주는 물질을 말한다.
● "보통비료"라 함은 부산물비료 외의 비료로서 공정규격이 정하여진 것을 말한다.
● "부산물비료"라 함은 농업 · 임업 · 축산업 · 수산업 · 제조업 또는 판매업을 영위하는 과정에서 나온 부산물, 인분뇨, 음식물류폐기물, 토양미생물제제(토양효소제제를 포함), 토양활성제 등 비료성능이 있는 물질로서 농림부장관이 지정하는 것을 말한다.
● "공정규격"이라 함은 농림부장관이 그 규격을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비료에 대하여 그 주성분의 최소량 또는 함유할 수 있는 유해성분의 최대량, 기타 주성분의 효능유지에 필요한 부가성분의 함유량 등 비료의 품질유지를 위하여 농림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한 규격을 말한다.
● "보증성분"이라 함은 비료업자가 생산 · 수입 · 수출 또는 판매하는 비료에 대해 그 비료가 함유하고 있는 주성분의 최소량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을 말한다.
'식물, 나무, 숲, 그리고 사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로수 DB(데이터베이스) 관리 (3) - 가로수 공간데이터 관리 참고 기준 (0) | 2023.02.16 |
---|---|
해설프로그램 만들기 (1) - ● 숲 해설 기초 (13) (0) | 2023.02.15 |
(SPECIAL FEATURE) 저탄소 농법의 하나인, 천경 농법 또는 무경운 농법 (0) | 2023.02.15 |
가로수 DB(데이터베이스) 관리 (2) - 가로수 이력관리 시스템 (0) | 2023.02.14 |
바질트리(Basil Tree) - Home Gardening (5) (0) | 2023.02.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