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설프로그램 계획 수립
== 해설프로그램을 실제로 계획하는 경우, 성공적인 진행을 위해 다음 단계를 포함해야 합니다.
[1]. 해설프로그램의 주제 및 메시지 선정
== 해설전략을 수립하는 계획과정에서 주요 해설 주제와 메시지를 명확하게 하는 과정은 여러 방법으로 달성 될 수 있습니다.
우선, 해설하고자 하는 대상지의 주요 자원•스토리•중요성을 명확히 하는 장소•시설 등의 자세한 목록을 작성합니다.
둘째, 해설가들이 참여하는 워크숍 등의 개최를 통해 기본 스토리라인을 중심으로 해설주제에 대해 토론하고 이에 대한 의견을 수렴합니다.
주제는 해설, 해설매체의 핵심이자 참가자들에게 전하는 메시지를 진술한 것으로서 다음을 참고해 작성해야 합니다.
▶ 짧고 단순하고, 완전한 문장 ▶ 한 가지 주된 아이디어를 포함 ▶ 관심과 동기를 불러일으키도록 표현 |
[2]. 해설프로그램의 목표 설정
== 해설서비스를 전문적•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계획수립 단계에서 제일 먼저 해설계획의 목표, 해설미디어 및 실행될 해설프로그램의 목적을 명확하게 세웁니다.
구체적인 목표에는 다음의 세 가지가 있습니다.
① 학습목표 = 해설프로그램에 참여하고 나서 참가자가 알게 되는 것, 설명할 수 있는 것, 열거할 수 있는 것 등을 뜻합니다.
예시 = 참가자의 대부분은 해설프로그램에 참여하고 나서, -- 자연경관의 보전과 서식처의 가치에 대하여 적어도 세 가지의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 새가 겨울에 이동하는 이유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 기후변화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쟁점에서 핵심이 되는 세 가지를 설명할 수 있다. |
② 감성목표 = 감성은 행동을 이끌어내는 원동력이므로 해설프로그램은 감성을 움직여야 합니다.
예시 = 참가자의 대부분은 해설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 지역에 대한 자부심을 느낀다. -- 참여한 해설프로그램을 후원하고자 하는 동기를 자극한다. -- 해설프로그램이 자신에게 적어도 몇 가지의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한다. -- 잊고 있었던 자연의 중요성을 깨닫는다. |
③ 행동목표 = 학습한 것은 행동으로 옮겨질 때 의미가 있으므로, 행동목표가 있어야 합니다. 행동목표는 참가자들이 해설프로그램, 전시, 기타 미디어 전시로부터 얻은 정보나 영감을 실제로 행동으로 옮기는 목표를 제시합니다.
예시 = 참가자의 대부분은 해설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 다른 해설 대상지를 방문하고 싶어진다. -- 해설프로그램에 참가하는 동안 자연보호를 위해 무엇인가 실천하기 시작한다. -- 자연을 훼손하지 않는다. |
이처럼 목표는 참가자의 해설프로그램이 성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로서 측정 가능해야 합니다.
'식물, 나무, 숲, 그리고 사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부터 달라지는 농업분야, 농업정책 (0) | 2023.02.17 |
---|---|
가로수 DB(데이터베이스) 관리 (3) - 가로수 공간데이터 관리 참고 기준 (0) | 2023.02.16 |
(유기농업산업기사 기출) 비료의 종류, 비료의 분류, 비료의 특성 (0) | 2023.02.15 |
(SPECIAL FEATURE) 저탄소 농법의 하나인, 천경 농법 또는 무경운 농법 (0) | 2023.02.15 |
가로수 DB(데이터베이스) 관리 (2) - 가로수 이력관리 시스템 (0) | 2023.0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