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 가로유형별 가로수 조성 모델 - 1.
(1). 주거지역(공동주택) 인접가로.
가로수 조성 목표 | ▪녹량 증진으로 공동주택단지와 녹지 연계 ▪풍부한 녹음으로 휴식처를 제공하여 지역 거주자들의 커뮤니티 수행 ▪다양한 색상의 꽃과 나무로 볼거리 제공 ▪화목류 위주의 띠녹지 식재로 도시경관 향상 |
|
가로수 조성 방향 | ▪지역 거주자들의 커뮤니티 수행을 위한 녹음 증진 ▪아교목층이나 관목층을 치밀하게 형성하여 공동주거단지 녹지와 연계 ▪다양한 화목류와 단풍으로 사계절 볼거리 경관 제공 ▪2열이상 가로수 병렬 식재로 녹량 증진 |
|
가로수 수종 선정 | ▪사계절 풍부한 경관 조성 위한 꽃·녹음·단풍 등 볼거리 제공 수종, 수간의 직간성이 좋은 수종 |
|
가로수 기능 향상을 위한 층위별 식재수종 |
교목층 | ▪꽃산딸나무, 단풍나무, 목련, 복자기, 산벚나무, 양버즘나무, 이팝나무, 중국단풍, 칠엽수 |
아교목층 | ▪목련, 배롱나무, 붉가시나무, 동백나무, 꽃산딸나무, 이팝나무, 중국단풍 | |
관목층 | ▪개쉬땅나무, 덜꿩나무, 만병초, 명자나무, 박태기나무, 산수국, 수수꽃다리, 영산홍, 정향나무, 조팝나무, 화살나무, 황매화, 흰말채나무, 홍가시나무 |
|
가로녹지 조성 | ▪넓은 보도폭을 활용한 충분한 폭원의 가로띠녹지 확보 ▪화목류 위주 식재를 통한 경관성 향상 |
728x90
<< 가로수 조성모델 평면도, 가로수 조성모델 단면도, 사례 사진 >>
(2). 상업가로.
가로수 조성 목표 | ▪특색 있는 가로공간 연출, 화목류 또는 단풍이 좋은 나무로 상가 이미지 부각 | |
가로수 조성 방향 | ▪상가 서비스행위나 보행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최대한 녹량 증대 ▪상가업종에 어울리는 특성화된 가로공간 연출 ▪유효 보도폭 확보 위해 가로띠녹지 지양 ▪상가를 이미지화 할 수 있는 화목류나 단풍이 좋은 가로수로 경관 향상 ▪수간의 직간성이 좋은 가로수로 경관 향상 |
|
가로수 수종 선정 | ▪꽃이나 단풍으로 시선을 집중시킬 수 있는 수종, 지하고가 높으면서 수고가 높게 자라지 않는 수종, 수관폭이 좁고 지엽이 치밀하지 않은 수종 |
|
가로수 기능 향상을 위한 층위별 식재수종 |
교목층 | ▪느릅나무, 대왕참나무, 은행나무, 이팝나무, 회화나무 |
아교목층 | ▪목련, 배롱나무, 붉가시나무, 동백나무, 꽃산딸나무, 이팝나무, 중국단풍 | |
관목층 | ▪개쉬땅나무, 덜꿩나무, 만병초, 명자나무, 박태기나무, 산수국, 수수꽃다리, 영산홍, 정향나무, 조팝나무, 화살나무, 황매화, 흰말채나무, 홍가시나무 |
|
가로녹지 조성 | ▪띠녹지 조성을 최소화하고 가로수 하부 수목보호홀덮개 설치 ▪지하철환기구, 전선배전함 등 가로 장치물 녹화, 가로수 사이 화분대 배치 |
728x90
<< 가로수 조성모델 평면도, 가로수 조성모델 단면도, 사례 사진 >>
728x90
728x90
'식물, 나무, 숲, 그리고 사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로수 조성 모델 -- 도로 녹량 확충을 위한 다양한 가로수 식재모델 (0) | 2023.02.27 |
---|---|
가로수 조성 모델 -- 가로유형별 가로수 조성 모델 (2) (0) | 2023.02.27 |
알부카 스피랄리스 - Home Gardening (6) (0) | 2023.02.23 |
병원 환자와 실내식물 - ○ 사람을 살리는 실내식물 (10) (0) | 2023.02.22 |
[특집6.]숲과 물의 이해 - 녹색 댐의 역할 (0) | 2023.02.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