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근주심재부후병 / 줄기밑둥썩음병(Butt rot) - 가로수 주요 병충해 발생특성 및 방제방법 [주요 수목병 3]
■ 근주심재부후병 / 줄기밑둥썩음병(Butt rot)
● 기주 =
▪아까시나무, 회화나무, 느티나무, 벚나무, 참나무류, 은행나무, 백합나무 등
● 발생특성 =
▪아까시흰구멍버섯(아까시재목버섯, 장수버섯)에 의한 근주심재부후병은 재질썩음병의 한 유형으로 주로 활엽수의 성목과 노목에 발생하며, 드물게 침엽수에도 발생함
▪아까시나무, 회화나무 등 콩과 수목에 주로 발생함
▪침해를 받은 나무는 줄기 밑동이 썩어 강풍에 잘 넘어지기 때문에 위험함
● 피해 및 증상 =
▪아까시흰구멍버섯균의 침해를 받은 나무는 뿌리와 줄기 밑동의 심재가 먼저 썩기 시작해서 나중에는 변재도 썩음
▪썩는 부위는 처음에는 담황색에서 나중에는 흰색으로 변하며, 마르면 푸석푸석해져서 잘 부스러짐
▪부후가 진행되면 잎은 황록색으로 소형화되어 일찍 떨어지고 나무는 점점 쇠약해지면서 마침내 말라죽음(자실체는 나무가 말라죽을 때까지 매년 발생함)
▪병 든 나무의 줄 기 밑동에는 초여름부터 가을에 걸 처 병원균의 자실체인 아까시흰구멍버섯이 무리지어 발생하고, 가을에 흑갈색으로 변하고 물러지면서 썩음
● 피해사진 =
![]() <아까시나무 밑동에 발생한 아까시흰구멍버섯> |
![]() <아까시흰구멍버섯 아랫면> |
● 방제방법 =
▪근주심재부후병은 일단 발생하면 방제가 어려우므로 예방이 가장 중요함
▪줄기 밑동이나 뿌리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관리하며, 토목공사, 이식 등으로 상처가 생겼을 경우 즉시 상처도포제(락발삼, 티오파네이트메틸 도포제 등)를 바름
▪아까시흰구멍버섯이 많이 발생한 경우 빨리 제거하여 추가 피해를 예방함
주의 : 적용 약제는 관련 법령 및 기준 등이 변경될 수 있으니 반드시 농약관리법에 따라 등록된 약제를 확인 후 적용해야 함 |
'식물, 나무, 숲, 그리고 사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나무류 갈색무늬병(Brown spot needle blight) - 가로수 주요 병충해 발생특성 및 방제방법 [주요 수목병 4] (4) | 2023.04.01 |
---|---|
기붐새깃아재비 - Home Gardening (9) (6) | 2023.03.31 |
쿠페아 히소피폴리아(Cuphea hyssopifolia) - [반려식물 13] (4) | 2023.03.22 |
[특집7.] 숲 생태계 구성생물과 생태적 기능 - 생태계에서 유일한 생산자인 식물 (2) | 2023.03.12 |
해설프로그램 만들기 (3) - ● 숲 해설 기초 (15) (1) | 2023.03.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