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 나무, 숲, 그리고 사람

가로수 조성을 위한, 가로수종의 선정 (3)

by 식물과함께 2023. 1. 5.
728x90
728x90

 

        ■ 도로유형에 따른 가로수종 선정   

 

 

(1). 가로환경에 따른 가로수종 선정

● 가로수 식재는 도로의 조건에 따라 결정해야 하므로, 수종 선정에 있어 도로계획과 지역 특성을 사전에 파악해야 한다. 가로와 인접한 토지유형별 특성은 가로별 가장 적합한 가로수종과 띠녹지 형태를 적용하기 위한 전제 조건으로 활용될 수 있다.

● 국내 가로수의 토지이용 여건을 고려하여 상업가로, 업무가로, 주거지(공동주택)인접가로, 일반생활가로, 역사경관가로, 도시생태네트워크가로 등으로 구분한다.

 

[[ 가로 환경별 특성 ]]

구분 차량 속도 보행 밀도 도로/건물 관계 보도폭 가로특성
상업가로 중~하 보통 넓음 ● 광역적 상권의 노선상가군
● 노점상, 상가 물건의 하역, 적치 등의 서비스 행위 빈번하여 많은 보행자와 함께 혼잡한 분위기 연출
업무가로 상~중 적음 넓음 ● 고층의 오피스 빌딩군 입지
● 건물 셋백(setback)으로 전면공지가 발생하고 보도폭원도 넓어 쾌적한 보행환경
● 출퇴근 시 이외에는 보도 통행량이 적음
주거지(공동주택)인접가로 적음 좁음 ●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연속적으로 입지
● 거주민을 위한 지역 커뮤니티의 중추적 역할 수행가능
일반생활가로 상~중 많음 좁음 ● 저층의 단독주택지 분포
● 다양한 형태의 토지이용이 혼합
● 보도 내 통행량이 적고 가로의 특징이 없음
역사/경관가로 상~중 적음 좁음 ● 주요한 역사문화적 유적과 인접
● 전통적 분위기의 담장이나 완충녹지로 경계 형성
● 도시를 대표하는 가로경관이 아름다운 가로
도시생태네트워크가로 적음 다양 ● 산림이나 공원 등의 대규모 녹지와 인접
● 생물이동통로 및 서식처의 역할 수행

● 가로와 인접한 주요 토지이용유형에 따라 가로환경의 여건과 보행자 및 수요층의 요구가 다양하게 형성되므로 가로별 주요 특성을 파악하여 규격 및 기능 등 조건을 고려하여 가로수가 선정되어야 한다.

● 상업가로에는 간판가림을 최소화 하도록 지하고가 높고 수관폭이 작은 수종, 업무가로에는 건물과 조화롭게 풍성하게 자라는 수종, 주거지인접가로에는 풍부한 녹음과 경관가치가 우수한 수종, 역사문화가로에는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향토수종 및 전통수종을 배치하고, 생태네트워크가로에는 유실수 및 밀원식물이 적합하며, 자동차중심가로에는 도시골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하고가 높고 수형이 아름다운 경관수를 도입할 수 있다.

 

[[[ 가로 환경별 가로수 선정 조건 ]]]

구분 가로환경별 가로수 요구 특성 가로수 선정조건 선정수종
상업가로 ● 수관폭이 좁아 간판가림 현상이 적은 수종
● 경관가치가 좋을 것
● 지하고 높은 수종
● 수관폭 7m 미만
● 은행나무, 이팝나무, 칠엽수, 층층나무, 느티나무, 회화나무 등
업무가로 ● 고층건물의 건축면과 조화를 이루어 도시미 부각
● 장대하고 풍성하게 자라는 수종
● 수고 15m 이상
● 수관폭 6m 이상
● 은행나무, 느티나무, 이팝나무, 회화나무, 팽나무, 메타세콰이아, 대왕참나무 등
주거지(공동주택)인접가로 ● 풍부한 녹음을 주는 선호 가로수
● 거리에 특징을 줄 수 있는 개성있는 수종
● 수관폭 4m 이상
● 경관가치 우수
● 느티나무, 팽나무, 회화나무, 이팝나무, 단풍나무, 배롱나무, 왕벚나무, 가시나무 등
일반생활가로 ● 다양한 색상의 꽃과 단풍 등의 볼거리로 사람들의 거리 이용을 증진시킬 수 있는 수종 ● 경관가치 우수 ● 산수유, 때죽나무, 단풍나무, 산딸나무, 왕벚나무, 목련, 꽃사과 등
역사문화가로 ● 지역 이미지를 부각하는 향토수종
● 수형이 단정하고 정갈한 수종
● 향토수종
● 전통수종
● 은행나무, 산수유, 소나무, 산사나무, 느릅나무, 뽕나무, 사과나무, 감나무, 회화나무 등
생태네트워크가로 ● 소동물의 먹이를 제공할 수 있는 유실수 및 밀원식물 ● 유실수 및 밀원식물 ● 이팝나무, 회화나무, 산수유, 산사나무, 복자기, 팥배나무 등
자동차중심가로 ● 주요 도시골격을 형성하는 가로로 지역가로경관을 형성하는 수종 ● 지하고 높은 수종
● 자체적 수형이 아름다운 수종
● 은행나무, 회화나무, 느티나무, 칠엽수, 모감주나무, 메타세콰이아, 대왕참나무 등

 

(2). 도로폭, 보도폭에 따른 가로수종 선정

● 가로수 신규 조성 시 도로폭 및 보도폭의 노선별 특징에 따라 가로수 규격 및 기능성 등 선정조건을 고려하여 가로수 수종을 선정한다.

● 도로폭 40m 이상 광로에서는 환경정화 및 내공해성이 우수하고 최고수고 25m 이상인 은행나무, 느티나무, 회화나무, 양버즘나무 등이 적합하고, 도로폭 25m 이하 중로, 소로에서는 수고 15m 이하인 산수유, 때죽나무, 산사나무, 단풍나무, 목련, 느릅나무, 모감주나무 등이 가능하다.

● 보도폭 3m 미만의 가로에서는 폭원이 좁고 적당한 수고를 형성하는 수종인 팥배나무, 산딸나무, 산사나무, 배롱나무 등을 사용하고, 보도폭 5m 이상의 가로에서는 수고가 높고 생체량이 큰 수종으로 은행나무, 팽나무, 느티나무, 회화나무, 중국단풍 등이 적합하다.

 

[[[ 도로폭 노선별 가로수 다양화 기준 ]]]

 

[[[ 보도폭 노선별 가로수 다양화 기준 ]]]

 


 

728x90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