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 나무, 숲, 그리고 사람

가로수 조성을 위한, 가로녹지 조성 (3)

by 식물과함께 2023. 1. 13.
728x90
728x90

 

 

        ■ 기타 가로녹지 조성 및 정비   

 

 

  (1). 교통섬 및 횡단보도 주변 녹음수 식재
    ● 보행량이 많고 대기시간이 긴 횡단보도 및 교통섬 주변 그늘이 필요한 지역에 녹음수를 이용하여 그늘목을 조성한다.
     -- 횡단보도 그늘목은 그늘을 제공하고, 도로경관 향상, 미세먼지 흡수, 도시열섬화 방지 등 다양한 효과를 발생할 수 있다.
    ● 보행자 통행과 운전자 시야 확보에 지장이 없도록 수목 지하고를 높게 하고, 위험우려구간은 그늘목을 식재하지 않는다.
    ● 느티나무와 칠엽수 등 녹음이 풍부한 수종을 선정하여 2~3주 모아심기 하되, 면적이 협소한 경우에는 단일식재도 가능하다.



  (2). 도로변 구조물 및 시설물 입체녹화
    ● 벽면 및 방음벽 녹화, 고가도로 하부 교량 녹화, 가로구조물 녹화 등을 실시하며, 등반형, 하수형, 패널형, 포켓형 및 매트형, 시트형 등의 기법을 적용할 수 있다.
    ● 벽면 및 방음벽 녹화는 벽면 하부 녹지대 조성, 벽면 상부 식재용기 설치 등을 통해 담쟁이덩굴, 능소화, 인동덩굴, 마삭줄, 송악 등 덩굴성식물을 식재한다.
    ● 고가도로 하부 교량녹화는 교각, 고가도로의 대형 기둥 기부에 띠녹지를 조성하고, 기둥 둘레로 메쉬망을 설치하여 능소화, 쟈스민, 머루류, 인동덩굴, 등나무 등 덩굴성식물을 식재한다.
    ● 가로구조물 녹화는 지하철 환기구, 배전함 등 가로구조물 기부에 띠녹지를 조성하고, 측면에 목재 트렐리스를 부착 후 줄사철, 송악, 덩굴수국, 바위수국, 마삭줄, 담쟁이덩굴 등 덩굴성식물을 식재한다.


  << ★★ 벽면녹화 유형 ★★ >>  

유형 조성방안
등반형 ● 송악, 담쟁이 등과 같은 부착형 식물을 하부 식재하여 벽면 등을 타고 올라가게 만드는 방법
● 철망과 같은 보조 자재를 설치하여 인동덩굴, 나팔꽃, 시계꽃과 같은 식물을 식재하여 녹화
하수형 ● 벽면의 상부 또는 중간에 식재기반을 설치하여 식물을 위에서 아랫방향으로 늘어뜨려 벽면을 녹화하는 방법
패널형 ● 플라스틱, 철재를 활용한 틀안에 경량 토양이나 섬유계 기반재를 충진하여 녹화기반으로 조성한 다음 식재
포켓형 및 매트형 ● 부직포와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 포켓모양의 식재기반을 사용
시트형 ● 식재기반을 시트모양으로 가공하여 부착 후 녹화

 


 

728x90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