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 나무, 숲, 그리고 사람

입맛 살리고 건강도 챙기는 겨울 대표 열매채소 딸기

by 식물과함께 2023. 1. 25.
728x90
728x90


입맛 살리고 건강도 챙기는 겨울 대표 열매채소 딸기

 

제철 맞은 딸기의 상큼함과 달콤함이 눈과 입을 자극하는데요.

겨울철에 먹으면 건강 관리에 도움이 되는 열매채소로 딸기를 추천합니다.

딸기는 1970년대 후반에는 대부분 노지에서 재배해 봄에만 맛볼 수 있었지만, 1980년대 이후 비닐온실이 보급되며 지금은 한 해 생산액이 2021년 기준으로 1조 4757억원에 달하는 겨울 대표 열매채소(과채류)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제철이 늦은 봄에서 겨울로 바뀌며 딸기의 맛과 품질은 더 좋아졌는데요.

728x90


평균기온이 낮은 겨울철에는 딸기 열매가 천천히 익는데, 이로 인해 요즘 딸기는 단맛이 많이 나고 신맛이 적으며 크기는 전보다 커졌습니다.

딸기는 맛도 좋을 뿐 아니라 몸에 좋은 생리활성 물질도 풍부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생산한 딸기(설향 품종)는 겨울철 많이 수입되는 오렌지보다 항산화 활성이 2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유해산소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항산화 물질인 비타민 C와 폴리페놀 함량은 딸기가 오렌지보다 각각 1.3배, 1.1배 높습니다.

특히, 딸기 7~8알이면 성인이 하루 필요한 비타민C 권장 섭취량(100mg)을 거뜬히 채울 수 있습니다.

728x90


딸기는 신선할 때 생 열매 그대로 먹는 것이 가장 맛있지만, 크기가 작거나 보관 중 무른 딸기는 으깬 뒤 꿀, 우유와 섞어 주기만 해도 누구나 좋아하는 생딸기 우유가 됩니다.

또한, 딸기를 물에 오래 담가 두면 물러지고 맛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먼지를 털어내는 정도로만 가볍게 씻는 것이 좋습니다.

보관할 때는 수분이 마르지 않도록 꽃받침을 떼지 말고 딸기 담은 용기를 비닐로 한 번 감싸줍니다.

이렇게 하면, 딸기 열매 내부의 수분이 빠져나가지 않아 더 신선하게 맛을 즐길 수 있습니다.

국산 딸기 품종 보급률이 2021년 기준으로 96.3%로서 시중에 판매중인 딸기 대부분이 우리 품종이므로, 맛과 기능 성분이 풍부한 딸기와 함께 건강한 겨울을 보내셨으면 좋겠습니다.


728x90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