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양버즘나무3 가로수 관리를 위한, 가지치기 (6) ■ 양버즘나무 목표수형에 따른 전정 방법 ○ 전선 경합지역 수직생장 억제(10m 이상 수고 관리 실시) ○ 강전정 이후 충분한 잔가지 발달 유도 ○ 협소한 가로의 경우 수관폭 억제(건물에서 0.5~1.0m 이격) ○ 수고 및 지하고를 기점으로 목표수형을 유지하며 전정 ○ 이후 목표수형에서 웃자란 가지 중심으로 규격 및 수형 유지 [[ 양버즘나무 전정 방법 ]] (1). 양버즘나무 사각형 표준수형 ● 전선이 없고 차도와 인도의 폭이 넓은 경우, 직사각형의 장대한 수형으로 경관을 조성할 수 있다. ● 수직방향으로 긴 타원형의 양버즘나무를 단기간에 직사각형의 수형으로 조정할 경우, 수관의 아랫부분은 가지가 치밀하지 않고 수관의 윗부분은 가지가 밀생하여 전체 수형이 의도한 대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 1단.. 2023. 1. 21. 가로수 관리를 위한, 가지치기 (4) ■ 가지치기 기준 -- 2 (4). 가로수의 수형관리 방법 [[ ★★ 가로수 목표 수형에 따른 관리대상 ★★ ]] 구분 내용 벚나무 ● 전정이 크게 필요하지 않으므로 11~12월이나 3월경에 불필요한 가지만 제거해 관리 ● 수형을 헤치는 도장지는 굵어지기 전에 전정하며, 직경 2cm 이상의 잘라낸 부위에는 상처도포제로 부패 방지 ● 11~12월경에 밑거름으로 유기질비료나 복합비료를 주고, 7월경에 적은 양으로 덧거름을 주어 관리 수고(m) 10~15 수형 구형 이팝나무 ● 휴면기인 11~12월이나 3월경에 도장지, 얽힌 가지를 솎아주는 정도로 약전정하여 자연수형으로 가꿈 ● 11월이나 3월경에 밑거름으로 유기질비료를 수관선 아래 구덩이를 판 후 시비하고, 수목 생장기인 4월하순~6월하순에 덧거름으로 조경.. 2023. 1. 20. 가로수 관리를 위한, 가지치기 (3) ■ 가지치기 기준 -- 1 (1). 수형과 안전을 고려한 기준 ● 수고 생장이나 수관폭 생장이 가로환경에 비해 과도한 경우, 목표 수고를 기준으로 전체적으로 수형의 원형을 고려하여 가지치기한다. ● 낙엽이 진 후부터 수액 이동 전(2월말)에 가지치기 작업을 실시하며, 교통표지판(신호등) 등 차폐 가로수는 수시로 작업한다. ● 양버즘나무, 메타세쿼이아 등이 대경목으로 성장한 경우 보행자 및 차량통행을 고려하여 보도와 차도측 가지치기를 차별화한다. (2). 가로수 목표 수형 기준 ● 노선별로 가로환경 및 수종별 수형의 원형을 고려한 목표 수형을 설정한다. [[ 가로수 목표 수형에 따른 관리대상 ]] 육성타입 유지타입 바꿔심기 등의 타입 수종에 따른 목표 수형에 미치지 못하는 가로수 가지치기에 의하여 원상 유.. 2023. 1. 20. 이전 1 다음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