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 나무, 숲, 그리고 사람

가로수 관리를 위한, 기타 가로수 관리 (2)

by 식물과함께 2023. 2. 8.
728x90
728x90

 

        ■ 기타 가로수 관리 - 2.   

 

 

(1). 가로수 부산물(낙엽, 낙과, 교체수목 등) 처리
   ● 낙과, 불법채취 등으로 인한 민원 요인 사전 제거
     == 주변 환경, 공해 정도에 따라 열매에 중금속 오염이 의심되는 경우 일괄 채취하여 폐기하거나 식용 부적합 푯말을 설치한다.
     == 은행열매는 냄새 등으로 인한 민원이 잦으므로 지자체별 실정에 맞게 일괄 채취, 채취허가 제도 운영, 불법채취 경고문 부착 등을 조치한다.
     == 신규 가로수 조성 시 열매를 맺지 않는 수나무를 선별(은행나무 암수 감별법 활용)하여 식재하도록 한다.
   ● 조기낙과 및 낙과방지 사업
     == 고유수형을 유지한 채 안(속)가지만 제거한다.
     == 민원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구역을 위주로 은행열매 낙과 전 조기에 털기 작업을 하고 청소를 한다.
     == 은행나무에 대형 그물망을 설치하여 열매가 낙과 시 자동으로 아래 바구니로 담기게 되는 시설물을 설치한다.
   ● 가지치기, 교체수목 부산물 처리방안
     == 가로수 관련 부산물은 파쇄칩과 함께 미생물보조재, 발효제 등을 혼합한 후 수분량을 조정하여 퇴비화한다.
     == 퇴비화의 표준기간은 2~3개월 이내로 정하며 발효 중 월 1회 정도의 상층부와 하층부를 섞는다.
     == 파쇄칩은 발효에 따라 최고 온도가 60~70도 까지 상승하므로 발화를 방지한다.
   ● 시민들의 참여와 나눔 유도
     == 지자체가 민간기업과 협력하여 은행나무 교체 및 이식에 대한 후원사업을 진행하여 사회공헌을 실현하고 수목보전과 가로수 이식에 대한 예산절감을 실현한다.
     == 사전에 은행열매 터는 구간을 공지하여 주민들이 스스로 참여할 수 있게 하고 은행열매의 자원 순환을 유도한다.
     == 조기낙과 사업 및 주민참여로 모아진 은행열매를 중금속 검사를 거쳐 경로당, 사회복지시설 등에 기부할 수 있다.

728x90

[[ 부산물 처리방안 ]]

구분 부산물 처리 및 활용
식재공간 내 영양부족
시비 혹은 객토
● 비탈면 녹화용 식생기반재로서의 파쇄칩의 활용은 식생기반재의 두께에 따라 파쇄칩의 크기를 결정함
● 얇은 식생기반재(1~2cm, 3~4cm)에 사용되는 파쇄칩의 크기는 취부 두께에 약 80~100% 정도의 크기로 소립과 중립 파쇄칩을 적용함
● 두꺼운 식생기반재(5~10cm, 10cm 이상)의 경우 파쇄칩의 크기는 취부 두께에 약 60~80% 정도의 중립과 대립 파쇄칩을 사용하며, 최대 크기가 7cm 이하 적용
● 파쇄칩의 크기는 파쇄물의 평균 크기로 정하며, 파쇄칩의 너비는 1cm 이하로 하여 다른 기반재료와의 혼합이 용이하게 함
● 파쇄칩은 식생기반재 두께에 따라 적당 크기의 것을 혼합하여 사용함
● 퇴비화한 임목폐기물은 조경수식재지 등에 멀칭재 등으로 활용하고 일부는 식생기반재의 토양으로도 활용함
도로 길어깨 구간의 멀칭 ● 비탈면 녹화용 식생기반재로서의 파쇄칩의 활용은 식생기반재의 두께에 따라 파쇄칩의 크기를 결정함
● 얇은 식생기반재(1~2cm, 3~4cm)에 사용되는 파쇄칩의 크기는 취부 두께에 약 80~100% 정도의 크기로 소립과 중립 파쇄칩을 적용함
● 두꺼운 식생기반재(5~10cm, 10cm 이상)의 경우 파쇄칩의 크기는 취부 두께에 약 60~80% 정도의 중립과 대립 파쇄칩을 사용하며, 최대 크기가 7cm 이하 적용
● 파쇄칩의 크기는 파쇄물의 평균 크기로 정하며, 파쇄칩의 너비는 1cm 이하로 하여 다른 기반재료와의 혼합이 용이하게 함
● 파쇄칩은 식생기반재 두께에 따라 적당 크기의 것을 혼합하여 사용함
● 퇴비화한 임목폐기물은 조경수식재지 등에 멀칭재 등으로 활용하고 일부는 식생기반재의 토양으로도 활용함
비탈면 멀칭 ● 인터체인지구간, 녹지대 및 흙쌓기부 식재구간의 보습력 유지, 잡초발생 억제, 현장 내 복토 토양 부족분의 충원 등 용도에 따른 멀칭재로 활용
728x90

[[ 예시). 서울시 은행나무 열매 처리방안. ]]

조기낙과 결실 및 낙과 방지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 유도
● 은행 채취 전담 기동 처리반 ==> 민원이 발생하는 구역을 위주로 은행열매 낙과 전 조기에 털기 작업을 하고 청소를 하는 인원을 배치
● 은행열매 기부 ==> 조기낙과 사업으로 모아진 은행열매를 중금속 검사를 거쳐 경로당, 사회복지시설, 어르신들에게 기부
● 대형 그물망 설치 ==> 은행나무에 대형 그물망을 설치하여 열매가 낙과 할 때 자동으로 아래 바구니로 담기게 되는 시설물 설치 ● 기업과 지자체가 연계된 암나무 이식사업 ==> 지자체가 민간기업과 협력하여 교체 및 이식에 대한 후원 사업을 진행하여 사회공헌을 실현하고 수목보존과 가로수 이식에 대한 예산 절감 실현
● 은행열매 털기 사전 예고제 ==> 사전에 은행열매 터는 구간을 공지하여 주민들이 스스로 참여할 수 있게 하고 은행 열매의 자원 순환을 유도

 

728x90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