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 보리의 춘화처리(=버널리제이션, vernalization, 春化處理)에 필요한 종자의 흡수율(흡수량)로 가장 적당한 것은? ==> 25%
■관련해설■
■ 춘화처리(=버널리제이션, vernalization, 春化處理)는 무엇인가?
[1] 작물의 개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생육기간 중의 일정시기에 온도처리(저온처리)를 하는 것.
[2] 일정 기간 저온 지속으로 인하여 개화하도록 하는 것.
[3] 식물을 장기간의 겨울 저온에 노출하거나 일정 기간 인위적인 저온 처리를 하여 식물이 꽃을 피우도록 하는 과정.
[4] 저온의 처리로 꽃피는 능력을 획득하게 하는 것.
[5] 온대 기후 지역에서는 일반적으로 기온이 낮은 겨울이 일정 기간 지속된 이후에 비로소 꽃을 피우는 식물들이 있다. 이러한 식물은 생식기관을 가을보다는 봄에 발달시켜 여름이나 가을에 씨앗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6] 일반적으로 충분한 겨울 저온으로 여겨지는 온도는 섭씨 0~10°C 사이이며 춘화처리에는 온도와 더불어 저온이 계속되는 기간도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7] 개화는 밤의 길이뿐만 아니라 온도에도 큰 영향을 받게 되는데, 일부 2년생과 다년생 식물은 겨울에 일정한 정도로 온도가 낮지 않으면 봄이 오더라도 줄기에서 꽃이 형성되지 않으며 이러한 식물의 특성을 이용한 것이 춘화처리다.
[8] 1915년 식물 생리학자 가스너(Gustav Gassner)는 발아 중인 씨앗의 온도 조절을 통해서 곡류 식물의 개화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음.
[9] 가스너의 실험 ➜➜ 발아하는 겨울호밀의 씨앗을 심기 전에 어는점 바로 위의 온도로 유지하였다. 일반적으로 겨울호밀씨는 겨울 동안 땅속에서 발아한 후 여름에 개화하는데, 가스너가 인위적으로 온도 조절을 한 씨앗은 늦은 봄에 심었음에도 여름에 개화하였음.
[10] 가스너의 실험 이후, 춘화처리 방법이 개발되면서 상업적으로 이용되기 시작.
[11] 정원사들은 수선화와 튤립의 알뿌리를 초봄에 땅속에 심기 전 몇 주 동안 냉동고에 두어 개화를 유도하고, 재배업자들은 계절에 따른 판매를 위해 식물이 제시간에 개화하도록 춘화처리함.
[12] 춘화처리(vernalization)의 어원은 라틴어의 ‘vernum’으로서 ‘봄’이라는 의미를 가짐.
■ 화성유도(花成誘導)란?
자연에 의하지 않고, 온도조절(춘화처리)이나 일장조절(일조량조절) 또는 화학물질처리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인위적으로 꽃을 피우게 하는 방법으로, 여기서 춘화처리를 쉽게 설명하자면, 식물을 춥게 하여 겨울이 왔구나 느끼게 해주고, 바로 따뜻한 곳에 두어 봄인 줄 알고 싹을 틔우게 하는 것으로 겨울을 지나 봄이 되었음을 환경조성해주는 개념이다. 또 춘화처리 시 저온(겨울)임을 느끼는 곳이 바로 그 식물의 생장점(=저온감응부위)이 되는 것이다.
■ 저온 버널리제이션과 고온 버널리제이션의 개념!
[1] 저온 버널리제이션 [= 종자버널리제이션] ➜ 장일(長日)식물[= 종자춘화형식물]을 0~10°C로 처리하는 것.
◎ 장일(長日)식물[= 종자춘화형식물 = 낮이 길어지는 시기에 꽃피거나 개화가 촉진되는 식물, 동지 이후부터 하지까지의 기간에 개화함] ➜➜ 추파맥류(가을보리, 가을밀), 시금치, 완두, 잠두, 봄무, 상추, 감자, 아주까리.
◎ 추파맥류(가을보리, 가을밀)[=즉, 가을에 심어서 봄철에 꽃피는 맥류] ➜ 0~3°C에서 30~60일 동안 저온 버널리제이션.
◎ 시금치 ➜ 0 ~ ±1°C에서 32일 정도 저온 버널리제이션.
[2] 고온 버널리제이션 [= 녹식물체버널리제이션, 작물버널리제이션] ➜ 단일(短日)식물[= 녹식물체춘화형식물, 작물춘화형식물]을 10~30°C로 처리하는 것.
◎ 단일(短日)식물[= 녹식물체춘화형식물, 작물춘화형식물 = 낮이 짧아지는 시기에 꽃피거나 개화가 촉진되는 식물, 하지 이후부터 동지까지의 기간에 개화함] ➜➜ 콩, 옥수수, 벼, 양배추, 당근, 양파, 히요스, 국화, 담배, 나팔꽃.
◎ 콩 ➜ 20~25°C에서 10~15일 동안 고온 버널리제이션.
◎ 옥수수 ➜ 20~30°C에서 10~15일 동안 고온 버널리제이션.
◎ 벼 ➜ 37°C에서 10~20일 동안 고온 버널리제이션.
■ 춘화처리의 성공 조건 3가지.
[1] 적당한 수분.
★★춘화처리에 필요한 각 종자의 흡수율(흡수량) ==>
◎ 보리 25%
◎ 옥수수ㆍ호밀ㆍ귀리 30%
◎ 봄밀 30~35%
◎ 가을밀 35~55%
cf.) 용어설명--> 최아(催芽=싹을 틔우는 일), 花芽(화아=꽃눈)
[2] 적당한 수온.
★★최아를 위한 수온은 12°C가 가장 적당함.
[3] 충분한 산소.
cf.) 빛은, 고온처리(고온 버널리제이션)의 경우에는 암흑이 필요함.
'식물, 나무, 숲, 그리고 사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집2.]피톤치드와 산림욕 - 숲의 건강물질을 이용하여 효과적인 산림욕을 하는 방법 (8) | 2022.01.25 |
---|---|
[특집1.]숲과 건강 - 숲이 우리에게 미치는 여러 가지 영향 (0) | 2022.01.25 |
(유기농업산업기사 기출)하우스재배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 염류집적(salt accumulation, salinization, 鹽類集積) (0) | 2021.08.26 |
시간 투자는 장시간! 학습은 효율적으로! (0) | 2021.08.26 |
자연과 좀 더 가까운 직업 - 생태세밀화가, 식물세밀화가, 동물세밀화가 (0) | 2021.08.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