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728x90

식물, 나무, 숲, 그리고 사람133

바질트리(Basil Tree) - Home Gardening (5) 바질트리(Basil Tree) 바질트리 학명 Ocimum basilicum L. 영명 Basil Tree 분류 통화식물목 꿀풀과 애정을 쏟은 반려식물의 멀쩡한 잎을 따는 것은 식물을 사랑하는 ‘식집사’에게는 어려운 일입니다. 그런데 바질트리는 멀쩡한 잎을 따는 것이 허용됩니다. 오히려 주기적으로 잎을 따 주어야 예쁜 형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바질트리는 초본성인 일반 바질과 다르게 수관이 동그란 작은 나무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동그란 머리에 삐죽 튀어나온 잎을 따줌으로써 좋은 수형을 유지할 수가 있습니다. 잎을 따도 빠른 시일 내로 신선한 새 잎을 내기 때문에 생육에도 문제가 없습니다. 따낸 잎은 일반 바질과 동일하게 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여러 가지 요리에 활용됩니다. 바질트리는 이름에서도 알 수.. 2023. 2. 13.
2023년부터 달라지는 산림정책과 산림제도 (6) 구 분 종 전 달라지는 내용 시행예정(일) 담당 부서 34. 산불 대응 단계별 브리핑 정례화 ○ 산불현장 통합지휘본부장이 필요시 브리핑 실시 ○ 산불현장 통합지휘본부의 산불대응 상황을 신속·정확하게 알리기 위한 산불 현장 브리핑 정례화 - 산불 확산대응 단계부터 권한자 지정 및 브리핑 실시(2시간 이내) - 산불 3~4단계는 오전·오후 정례 ○ 산림보호법 시행 규칙 제33조 (’22.11월) ○ 산불방지과 (042-481-4257) 35. 산림인접지역 소각행위 금지 ○ 산림으로부터 100미터 이내에서 농업부산물 등 소각을 위한 불놓기 허가를 예외적으로 허용 ○ 산림으로부터 100미터 이내에서는 논·밭두렁 태우기 등 인화물질 사전 제거를 위한 소각행위 전면 금지 ○ 산림보호법 시행령 제24조 (’22.11.. 2023. 2. 13.
2023년부터 달라지는 산림정책과 산림제도 (5) 구 분 종 전 달라지는 내용 시행예정(일) 담당 부서 27. 산지연금형 사유림매수 제도 개선 ○ (명칭) 분할지급형 사유림매수 매수단가 -- 일시형 사유림매수와 동일 선지급비율 -- 20% 공유지분 -- 매수 불가 ○ (명칭) 산지연금형 사유림매수로 홍보 명칭 사용 매수단가 -- 기준단가 상한선 삭제 선지급비율 -- 40% 이내로 상향 공유지분 -- 4인까지 매수제한 해제. 30ha 이상시 지방청장이 매수 필요성 등을 고려 5인 이상도 매수 가능 ○ 산지연급형 업무 처리요령 (’23.1월 누리집 공고) ○ 국유림경영과 (042-481-4095) 28. 국유림 대부·사용허가 등 정책 개선하여 국민부담 경감 ① 공중, 지하 또는 지상부 모두 지상부 대부료 요율로 산정 ② 산양삼 사용허가 신청시 신청지역 마을.. 2023. 2. 12.
2023년부터 달라지는 산림정책과 산림제도 (4) 구 분 종 전 달라지는 내용 시행예정(일) 담당 부서 20. 공‧사유림에 산불진화임도 조성 사업 도입 ○ 산불진화임도를 국유림에만 조성 ○ 국유림에만 조성 중이던 산불진화임도를 공‧사유림에도 조성 및 지원(국비70%) ○ 보조금법 시행령 제4조 (’23.1월) ○ 목재산업과 (042-481-4276) 21. 간선임도 단가 인상 ○ ’22까지 간선임도 조성 단가 223백만원/㎞ ○ 간선임도 단가 인상(13.4%) - (’22까지) 223백만원/㎞ → (’23) 253백만원/㎞ ○ 임업‧산촌부문 예산안 편성지침 (’23.1월) ○ 목재산업과 (042-481-4276) 22. 임도 타당성평가 전문기관에 위탁 사업량 확대 ○ 전문기관에서 국유임도타당성평가 위탁사업 실시(150㎞) ○ 위탁 사업 물량 확대 - (.. 2023. 2. 12.
가로수 DB(데이터베이스) 관리 (1) - 가로수 조성 및 관리이력 DB 구축 & 관리대장 작성요령 및 관리 ■ 가로수 조성 및 관리이력 DB 구축 & 관리대장 작성요령 및 관리 (1). 가로수 조성 및 관리이력 DB 구축 ○ 산림청은 산림재해 통합관리시스템 통해 행정자치부의 국가지점번호, 국토교통부의 항공영상, 국립생태원의 전국자연생태 등 각 기관의 정보를 통합하여 활용하고 있다. 산림청 통합관리시스템에 지자체별 개별 가로수 현황조사 결과 및 이력관리 시스템을 탑재해야 한다. ○ 지자체별 도시정보시스템(Urban Information System)기반 가로수 DB를 구축하여 가로수 관리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 지자체별 조경수 조성 및 관리이력 Data base는 녹지단위·식생단위·수목단위의 공간적인 위계를 가지고 차별적으로 지리정보시스템(GIS)으로 구축한다. (2). 관리대장 작성요령 및 관리 1). 도.. 2023. 2. 12.
2023년부터 달라지는 산림정책과 산림제도 (3) 구 분 종 전 달라지는 내용 ○ 시행예정(일) ○ 담당부서 13. 친환경 목재생산 산주 지원 ○ (신설) ○ 친환경 목재생산 강화에따라 공익적으로 존치되는면적에 대해 산주에게 인센티브 지원 ○ 산림자원법 제36조 (’23.6월) ○ 산림자원과 (042-481-4189) 14. 불량림 수종 갱신 적용 기준 완화 ① 임지생산능력급수 IV ~V급지 수종 갱신 불가 ② 임지생산능력급수 지도 1:25,000 사용 ① 임지생산능력급수 V급지만 수종갱신 불가 ② 임지생산능력급수 지도 1:5,000 사용 ○ 산림자원법 시행 규칙 [별표3] (’23.6월) ○ 산림자원과 (042-481-4189) 15. 국유임산물 반출 기준 세분화 ① (기간) 1년 이내 ② (연장 횟수) 제한 없음 ① (기간) 매각량에 따라 세분화 -.. 2023. 2. 11.
2023년부터 달라지는 산림정책과 산림제도 (2) 구 분 종 전 달라지는 내용 ○ 시행예정(일) ○ 담당부서 6. 출연 연구개발과제 평가위원 선정기준 개선 ○ 산ㆍ학ㆍ연 등 외부 전문가 위주로 평가위원을 선정하되 연구개발 과제의 내용에 따라 전문성 등을 고려하여 평가에 필요한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공무원을 평가위원으로 선정 ○ 공무원이 제한적으로 평가위원에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과제담당관 또는 연구개발과제 내용과 관련된 부서의 5급 이상 공무원을 평가위원으로 선정할 수 있도록 범위를 넓힘(소속기관 포함) ○ 산림과학기술 연구개발사업 관리 등에 관한 규정 제17조 (’23.1월) ○ 산림정책과 (042-481-4138) 7. 연구개발과제 선정 시 우대ㆍ감점 기준 및 방법 개선 ○ 연구개발과제 선정 평가점수의 가점을 비율로 계산 ○ 연구개발과제 선정 평가점수.. 2023. 2. 11.
2023년부터 달라지는 산림정책과 산림제도 (1) 구 분 종 전 달라지는 내용 ○ 시행예정(일) ○ 담당부서 1. 산림탄소상쇄제도 운영표준 개정 ① (신설) ② 이산화탄소 순흡수량 산정시 변수 - 바이오매스생장량, 탄소계수, 임분수확표, 지위지수 ③ 산림탄소흡수량 산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수 있는 사항은 사업계획서 변경 미허용 ① 사업자의 사망 등으로 인한 권리*승계 절차 신규 반영 * 운영표준 기준에 따라 허가·승인 받은 권리 ② 이산화탄소 순흡수량 산정시 정확도 향상을 위해 변수 추가 - 종전 + 수간곡선식 ③ (사업계획서 변경 기준 완화) 산림탄소흡수량 산정 관련 사항 사업계획서 변경 허용 ○ 사회공헌형 산림탄소상쇄 운영표준 제10조, 25조, 26조 등 (’23.1월) ○ 산림정책과 (042-481-4037) 2. 산림생명자원 책임기관 추가 지정.. 2023. 2. 11.
유기농업기사, 유기농업산업기사, 유기농업기능사 - 농업 자격증 농업분야의 자격증 중에서 유기농업기사, 유기농업산업기사, 유기농업기능사가 있습니다. 기능사 시험은 자격제한이 없지만, 산업기사나 기사 시험은 관련학과 학력이나 관련경력이 쌓여있다면 산업기사나 기사 시험에 응시할 자격이 주어집니다. 저도 관심이 많았던 분야였고, 관련 분야 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한 뒤로 유기농업 분야에 시험을 준비하고자 공부를 했지만, 그렇게 열심히 할 시간도 부족했고, (핑계..), 잘 되지 않았습니다. 그렇다고 포기해서는 안되겠기에, 조금씩 이나마 공부를 시작해야겠다는 다짐을 했습니다. 저는 산업기사 시험 응시자격이 되기 때문에 산업기사 준비를 다시 시작하려고 합니다. 제 블로그에 두 번 정도 문제풀이 해설 방식으로 글을 썼던 적이 있었는데, 그 뒤로 감감 무소식이었습니다.(개인적인 게으.. 2023. 2. 11.
커피나무(Coffee Tree) - Home Gardening (4) 커피나무(Coffee Tree) 커피나무 학명 Coffea arabica L. 영명 Coffee Tree 원산지 에티오피아 분류 Rubiaceae(꼭두서니과) 현대인에게 없어서는 안 되는 것 중 하나가 커피일 듯합니다. 모닝커피는 활기찬 아침을, 점심 식사 후의 커피는 나른한 오후를 깨워주는 효과적인 수단입니다. 커피의 대표적인 함유 성분은 단연 카페인입니다. 커피콩뿐만 아니라 커피나무 잎에도 카페인이 함유되어 있는데, 해충이 잎을 먹으면 카페인에 의해 죽거나 정상적으로 기능할 수 없게 됩니다. 또한 종자에 포함된 카페인은 발아할 때 주위 식물의 성장을 억제하여 자신의 생장을 유리하게 합니다. 이처럼, 지친 우리를 기운 나게 해주는 카페인은 본래 커피나무가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낸 성분입니다. 우리.. 2023. 2. 11.
참가자에게 맞는 해설을 해야 훌륭한 해설가 (4) - ● 숲 해설 기초 (12) ●● 시각장애인, 청각장애인, 보행장애인, 가족 == 우리가 시각장애인이라고 하면 눈을 가리기 위한 검은 안경을 쓰고 흰 지팡이를 들고 있는 이미지를 떠올리기도 합니다. 또한 시각장애인은 아무것도 안 보일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지만, 시각장애는 그 정도에 따라 크게 약시와 실명으로 나뉩니다. 저시력은 그 원인을 알 수 없이 시력이 저하된 상태로 일반적으로 일상생활은 영위할 수 있으나 신문이나 책에 실린 보통 크기의 글자를 읽을 수 없는 교정시력 0.3 미만을 말하고, 교정시력이 0.05 미만일 때는 전맹(실명)이라 하는데 특히 눈앞에 물체가 움직이는 것을 전혀 분별할 수 없는 경우를 완전실명 또는 전맹이라고 합니다. 이를 토대로 시각장애인 1급을 전맹으로 친다 하더라도 시각장애 등록장애인 수 중 약.. 2023. 2. 11.
식물의 제거기능의 지속성과 생체방출물질 제거 - ○ 사람을 살리는 실내식물 (9) ■ 식물의 제거기능의 지속성과 생체방출물질 제거 == 많은 사람들은 식물이 쉬지 않고 휘발성 유기물질을 흡수한다면 언젠가는 제거능력이 한계에 이르게 되어 효과도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식물이 죽어갈 것이고, 결국에는 오염물질이 다시 공기 중으로 방출되지 않을까 걱정을 합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그런 걱정은 할 필요가 없습니다. 관음죽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포름알데히드 제거실험을 한 결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제거율이 높아졌다고 합니다. 또한 흥미롭게도 식물에는 눈에 띄는 피해가 없었습니다. 다른 휘발성 유기물질을 이용한 연구에서도 마찬가지 결과를 얻었습니다. 이러한 사실은 식물이 휘발성 유기물질을 단순히 축적하는 것이 아니라 대사적으로 분해하여 체내에 필요한 물질로 전환한다는 것을 말해줍니다. 실제로.. 2023. 2. 10.
가로수 생산 시스템 -- 가로수 전문 양묘장 조성 및 가로수 계약재배 ■ 가로수 전문 양묘장 조성 및 가로수 계약재배 (1). 가로수 전문 양묘장 조성 ○ 쾌적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해 전국 지자체별로 도시녹화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지자체 도시녹화사업에 필요한 수목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수목 가격이 오르고 물량이 제때 확보되지 못해 식재시기가 지연되며, 수형, 생육상태 등 좋지 않은 나무가 공급됨에 따라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 가로수 조성 등 도시녹화사업에 있어서 품질 좋은 수목 생산을 통해 쾌적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전문 양묘장 조성•운영이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 전문 양묘장에서는 가로수, 도시녹화사업에 필요한 수목생산뿐만 아니라 지역의 자생식물을 활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도시숲 모델을 전시하고, 자연체험 교육을 제공하여 식물공원과 같은 기.. 2023. 2. 10.
가로수 관리를 위한, 주민참여를 통한 가로수 관리 ■ 주민참여를 통한 가로수 관리 (1). 가로수 관리 민관협치 거버넌스 구성 및 운영 ● 시민이 도시의 가로수•수목을 돌본다는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도록 민관이 협력하여 캠페인을 추진한다. ● 도시 가로수 등 나무와 시민의 상생 선언을 추진한다. ● 시민에게 가로수 관련 자료를 공개하고, 시민참여형 실행계획을 수립한다. ● 가로수 조성•관리심의위원에 시민을 위촉하여 가로수 정책참여를 도모한다. ● 가로수 선물하기, 가로수의 날을 제정한다. (2). 시민참여 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홍보 ● 시민인식 증진을 위한 나무인문학 관련 대중강연을 추진한다. ● 도시 가로수의 4계절 체험프로그램을 기획한다. ● 관심 있는 단체 및 개인과 가로수의 관리 협약을 체결한다. ● 가로수에 대한 시민인식을 증진하고 참여를 유.. 2023. 2. 9.
올리브나무 - Home Gardening (3) 올리브나무 올리브나무 학명 Olea europaea L. 영명 Olive 분류 Oleaceae(물푸레나무과) 원산지 지중해 개화시기 4~5월 양식집에서 나오는 피클, 올리브유, 피자 위의 타이어 정도가 생각나는 올리브는 지중해에서는 흔한 유실수입니다. 대게 노지에서 7m 정도로 크게 자라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화분에 심어 실내에서 기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나무 자체를 플랜테리어 소재로 이용함과 동시에 열매를 따 먹기도 합니다. 보통의 올리브는 자가 결실률이 낮으므로 열매를 맺기 위해서는 두 그루 이상을 함께 두어야 하며, 한 그루만 둘 경우에는 자가수정 품종을 구매해야 합니다. 올리브의 원산지인 지중해 지역은 햇빛이 아주 강합니다. 따라서 실내에서 기른다면 햇빛을 많이 받을 수 있는 창가와 발코니가 적합합.. 2023. 2. 9.
여우꼬리 - [반려식물 12] ▶ 식물의 원산지 및 특성 == 여우꼬리(Acalypha chamaedrifolia (Lam.) Mull. Arg. [대극과 Euphorbiaceae])의 원산지는 인도, 스리랑카 등 열대 또는 아열대 지방에서 자랍니다. 작고 풍성한 붉은색의 꽃이 여우꼬리와 닮았다 하여 불리는 여우꼬리, 붉은여우꼬리, 붉은여우꼬리풀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잎 가장자리에 톱니바퀴 모양이 나있으며 줄기 끝에서 나온 꽃자루에 긴 원통형의 원추화서가 특징입니다. 다만, 국내에서 자생하는 백합과 여러해살이 풀인 여우꼬리풀(Aletris glabra Bureau & Franch.)과는 완전히 다른 식물이니 구분할 필요가 있습니다. 잎 표면에는 솜털이 있으며, 잎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습니다. 꽃은 암꽃과 수꽃이 한 .. 2023. 2. 8.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