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로수 관리를 위한, 가로수 생육환경과 관리
■ 가로수 생육환경과 관리 ● 도시 가로수는 자연 녹지에 있는 나무보다 열악한 환경조건에서 생육하고 있다. 가로수는 주변 빌딩과 인접하여 생육공간이 협소하고 자동차의 배기가스나 도시열섬 현상, 수관 상층부의 전선 등으로 생육환경이 크게 제약을 받고 있다. 따라서 가로수의 조성•관리 시 생육환경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 도시 가로수의 생육환경을 고려하여 가지치기, 식재지반 개량, 토양 시비 및 관수, 답압 피해 관리, 보도블럭 돌출현상 관리, 바꿔심기 및 메워심기, 부산물(낙엽, 낙과, 가지) 처리, 병충해 관리, 월동 관리, 고사목 처리, 주민참여 관리, 가로수 위험목 진단 등을 종합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2023. 1. 17.
가로수 조성을 위한, 가로녹지 조성 (3)
■ 기타 가로녹지 조성 및 정비 (1). 교통섬 및 횡단보도 주변 녹음수 식재 ● 보행량이 많고 대기시간이 긴 횡단보도 및 교통섬 주변 그늘이 필요한 지역에 녹음수를 이용하여 그늘목을 조성한다. -- 횡단보도 그늘목은 그늘을 제공하고, 도로경관 향상, 미세먼지 흡수, 도시열섬화 방지 등 다양한 효과를 발생할 수 있다. ● 보행자 통행과 운전자 시야 확보에 지장이 없도록 수목 지하고를 높게 하고, 위험우려구간은 그늘목을 식재하지 않는다. ● 느티나무와 칠엽수 등 녹음이 풍부한 수종을 선정하여 2~3주 모아심기 하되, 면적이 협소한 경우에는 단일식재도 가능하다. (2). 도로변 구조물 및 시설물 입체녹화 ● 벽면 및 방음벽 녹화, 고가도로 하부 교량 녹화, 가로구조물 녹화 등을 실시하며, 등반형, 하수형, ..
2023. 1. 13.